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rawling
- 가천대
- 타입스크립트
-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 ip
- dfs
- typescript
- 문자열
- 프로그래머스 레벨 2
- HTTP
- TCP
- 수학
- Nestjs
- dp
- type challenge
- BFS
- 쉬운 문제
- 레벨 1
- 그래프
- 알고리즘
- javascript
- 크롤링
- Node.js
- 자바스크립트
- HTTP 완벽 가이드
- 타입 챌린지
- 백준
- 소켓
- socket
- Today
- Total
목록cbm (4)
kakasoo

이전 글 [Meta] 메타 유저와 대응되는 파트너사의 구조 ( PBM, CBM ) 이전 글에서 [Meta] 용어 정리 (메타 자산 구조, 유저부터 유저의 자산까지) 메타 용어 정리 설명하기에 앞서 메타 용어들을 정리하고 가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메타의 ERD 구조가 실제로는 어떠한 kscodebase.tistory.com 서론 저번에는 PBM과 CBM에 대해서 설명했다. 마지막 그림만 가지고 다시 설명하면, Meta User는 PBM을 자신의 agency로 등록해야 한다. 모종의 이유로, PBM에서 바로 광고를 집행하는 것은 계정 정지 등의 이유에 대해서 대응하기 취약하기 때문에 PBM은 CBM을 만든다. PBM은 자신의 고객 당 하나의 CBM을 만들고, 고객으로부터 받은 자산 ( = DataSourc..

이전 글에서 [Meta] 용어 정리 (메타 자산 구조, 유저부터 유저의 자산까지) 메타 용어 정리 설명하기에 앞서 메타 용어들을 정리하고 가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메타의 ERD 구조가 실제로는 어떠한지 모르지만, Meta Marketing API를 호출하면서 광고 자산들의 구조에 대해 대 kscodebase.tistory.com [Meta] 메타 광고 계정 생성 및 광고 관리자에 대한 설명 서론 이 글에서는 유저가 메타 관리자 페이지에서 비즈니스를 생성하고 광고 계정을 생성, 결제 정보를 연동하는 것까지를 다루려고 한다. 사실 개발자 입장에서는 유저의 플로우를 몰라도 API kscodebase.tistory.com 이전에 메타의 자산 ( = DataSource 라는 용어로 통합되었다 ) 에 대해서 설명..

서론 이 글에서는 유저가 메타 관리자 페이지에서 비즈니스를 생성하고 광고 계정을 생성, 결제 정보를 연동하는 것까지를 다루려고 한다. 사실 개발자 입장에서는 유저의 플로우를 몰라도 API를 연동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는 하다. 실제로 나는 그걸 전혀 모르는 상태로 개발을 해온 적이 있었는데, 그래도 알고 있는 편이 수월하기 때문에 다뤄봐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광고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단 비즈니스가 필요하다. 어떤 유저도, 자신의 비즈니스를 생성하지 않고서 광고를 집행할 수는 없다. ( 사업자를 등록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 Meta Business Suite 및 비즈니스 관리자에 로그인하고 액세스하기 Meta Business Suite와 비즈니스 관리자를 사용하면 한곳에서 광고를 만들고 계정..

메타 용어 정리 설명하기에 앞서 메타 용어들을 정리하고 가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메타의 ERD 구조가 실제로는 어떠한지 모르지만, Meta Marketing API를 호출하면서 광고 자산들의 구조에 대해 대략 생각해볼 수 있다. 생각해보면 위와 같이, 1:M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어떤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는데, 실제로도 저러한지는 알 수가 없다. 아무래도 글로벌 서비스인 탓에, 처음의 설계와 달라진 '허용'들이 생겨나면서 1:1, 1:N, N:M 등 다양한 관계성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최종적으로 그려지는 ERD의 모습은 위와 같이, 유저부터 광고 계정까지 1:M으로 연결되며, 각 연결 지점마다 자산이 있는 걸로 보인다. 메타 서비스의 '유저'는 여러 개의 '비즈니스'를 가지고, '비즈니스'는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