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수학
- type challenge
- typescript
- 백준
- BFS
- javascript
- Crawling
- dfs
- Node.js
- HTTP 완벽 가이드
- 알고리즘
- 자바스크립트
- 레벨 1
- 쉬운 문제
- 프로그래머스
- 문자열
- 타입스크립트
- 가천대
- TCP
- 타입 챌린지
- dp
- HTTP
- 그래프
- socket
- ip
- 소켓
- 크롤링
- Nestjs
- 프로그래머스 레벨 2
- Algorithm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13)
kakasoo
여기에 작성된 코드는 절대로 좋은 코드가 아니니, 참고하지 말 것!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1232123 이라는 숫자가 있다고 할 때, 기준점을 하나씩 옮겨가며, 양측의 숫자들이 동일..
알고리즘에 대해 알고리즘을 배우기 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궁금한 것이, 수학적인 능력의 유무가 알고리즘을 배우는 데에 필수적인지 일 것이다. 나도 어렴풋이 그런 걸 느끼기도 했고, 경험해가며 굳이 필요없다는 것을 느꼈다. 인공지능을 한다거나, 아니면 그래픽스를 할 게 아니라면 필요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비록 내가 인공지능이나 그래픽스를 해본 것은 아니지만, 수식을 쓰는가 안 쓰는가, 그런 도구적인 쓰임과 자신이 사용하는 공식들에 대한 이해 없이 그저 수학적 사고력만으로 풀 수 있는 문제들 선이 내게 필요한 cut line 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상으로 가려면 아직 시간도 많고, 필요할 때 배워도 문제 없겠다고 싶었다. (Q. 나는 하루에 8시간 정도 code를 짜고 있는데, 필요할 때 배워도 문..
문제 이름은 쉬운 계단 수인데, 사실 쉽지 않다, 저기 정답 비율만 봐도 28.216%지 않은가. 물론 DP에 능숙해졌다면 몇 번의 시행 착오만 겪어도 풀 수 있는 문제긴 하겠지만. 자세한 설명은 코드를 먼저 보여준 다음에 이어 나가는 게 좋을 거 같다, 주석을 달아 놨으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include using namespace std; long long int dp[101][10..
발상 자체가 조금 까다로운 문제이다. (그런 줄 알았는데, 내가 문제를 잘못 읽었다.) 상근이 ( 또 상근이야? )는 여러 나라를 여행할 건데, 최소한의 비행기만을 타고자 한다. A에서 B로 가는 비행기가 있다고 할 때, B에서 A로 가는 비행기는 한 종류로 취급한다. 상근이가 모든 나라로 여행을 가면서도 최소한의 비행기를 타려면 몇 번의 비행기를 타야 하는가? 여담이지만, 모든 나라를 돌면서도, 실패할 경우에 무엇을 출력하라는 말이 없는 것을 보니 test case로, 모두 성립할 수 있는 경우의 수만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 당연히 국가의 수 - 1이 정답이겠지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
숫자가 예쁜 문제다, 14500번. 일단 문제에 대해서 간단한 해설을 쓰자면, 이건 무조건 dfs로밖에 풀 수 없는 문제다. 간단히 문제를 요약하건대, 아무 숫자가 적혀져 있는 2차원 배열이 주어질 때, 그 배열 위에 테트로미노 (이상, 위에 나와 있는 5가지 도형, 그리고 그 도형의 회전과 대칭)를 올려서 테트로미노 위에 적혀져 있는 숫자들의 합이 가장 큰 것을 구하는 문제이다. 고로 테트로미노가 4칸을 합쳐서 만든 도형이라는 특성 상, dfs든 bfs든 4칸이 되는 순간, 합을 반환하고 종료시켜야 하는데, bfs는 한 지점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만들어진 도형이 반드시 인접할 거란 보장이 없다. 그에 반해 dfs는 한붓그리기와 같은 형태라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다만 dfs의 경우에..
질문에 있는 글인데, 너무나 잘 정리되어 있어서 가지고 왔다. (*이런 것에는 저작권이 없겠지?) 1. 가중치가 없는 최단 경로, 한 마디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써야 하는 게 아니면 무조건 bfs라는 것. 2. 모든 칸을 0으로 하나씩 바꿔보는 브루트 포스는, 최악의 경우 (1000 * 1000)^2의 반복이 된다. (map size = 1000 * 1000, 이고 각각의 칸이 모두 1인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1000000000000 번이다.) 3. 칸마다 방문 체크를 하는 방식으로는 풀 수 없다. 이거 참 중요한 이야기인데, 벽을 부수지 않은 세계와 벽을 부순 적 있는 세계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벽을 부수지 않은 세계를 0번 세계, 그리고 부순 세계를 1번 세계라고 할 때, 0번 세계에서 0번..
이 문제가 '브루트포스' 라는 분류를 가지고 있는 건, 내가 봤을 때 미친 짓이다. 브루트포스 방식으로도 풀 수야 있겠지만 시간초과가 미친듯이 난다. 브루트포스로, 더 이상 효율적으로 만들 수 없을 거라고 생각이 들 때까지 했는데 90%에서 시간초과였다. 그래서 다른 방식을 찾아서 했는데도 시간초과가 미친 듯이 나왔다. (그래서 데이터 구조와 STL을 적극 활용하였고,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공식들도 훨씬 공부해야 했다.) 차라리 이건 '수학'만 구분으로 가지고 있는 게 낫다. 최대 값이 1000000000으로 입력될 수 있고, 같은 값이 2번 이상 입력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다른 수들과의 최대 공약수가 아무리 작아도 500000000은 나올 수 있을 텐데, 이걸 1부터 브루트포스로 검사를 한다고? 미친 짓..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emo[20] = { 1,1, }; int factorial(int num) { if (num == 0 || num == 1) return 1; if (!memo[num]) { return memo[num] = num * factorial(num - 1); } else return memo[num]; } int main(void) { int n,k; cin >> n >> k; cou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n, s, sum, counted; int arr[21]; bool visited[21]; void dfs (int start) { visited[start] = true; int cur = start; sum += arr[start]; if (sum == s) { counted++; } for (int i = start + 1; i > n >> s; for (int i = 0; i > arr[i]; for (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push X :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
어려웠다.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알아낸 것이, 전깃줄이 교차되는 경우의 수였다. 예제의 1부터 10까지의 전봇대를 생각해볼 때, 1부터 10까지를 배열의 index처럼 취급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 index가 더 후위에 있다면, 이 인덱스에 해당하는 배열의 값도 더 후위에 있어야 한다. 즉 1이 3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2부터 10까지는 적어도 4 이상과 연결되어 있어야 1과 교차하지 않는다. 그러나 문제가 생기는 것이 바로 0이었다. 만약 1이 0이라고 한다면 2 ~ 10까지는 1이상과 연결되어도 되는 것이니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만약 index 2가 0이라고 한다면, 사실 index 2는 값과 무관하게 항상 앞전과 교차할 일이 없어야 하겠지만, 컴퓨터는 이 0을 0이라는 전봇대와..
그리디 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이라고 하는데, 비슷한 종류의 문제들 중에 이게 가장 수준이 높았던 거 같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솔직히 나는 이런 거에 알고리즘이라는 말을 붙일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로 간단했다. 그 순간 순간의 최적해를 쫓아 가서, 근사값을 구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이라는 건데, 당연 그 순간의 최적해를 쫓을 때 최종적인 답안이 최적해가 아닐 수도 있다. 말하자면, 지금 알고리즘 조건에 따라서, 이렇게 설명할 수 있겠다. 2일 간격으로만 음식을 먹을 수 있고, 더 적은 음식을 먹어야할 때, 첫날 음식을 먹느냐 둘째날 음식을 먹느냐, 첫날과 둘째날을 비교해서 작은 쪽을 먹는다는 게 그리디의 방식이지만, 만약 셋째날이 무한대에 수렴한다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두번째를 먹는 것을 고르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