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프로그래머스
- dfs
- 크롤링
- 레벨 1
- 가천대
- BFS
- 백준
- 타입스크립트
- 그래프
- 타입 챌린지
- typescript
- Nestjs
- 수학
- ip
- 소켓
- type challenge
- socket
- javascript
- TCP
- Node.js
- 문자열
- 프로그래머스 레벨 2
- 자바스크립트
- 알고리즘
- HTTP 완벽 가이드
- dp
- HTTP
- 쉬운 문제
- Algorithm
- Crawling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파트너사 (1)
kakasoo

이전 글 [Meta] 메타 유저와 대응되는 파트너사의 구조 ( PBM, CBM ) 이전 글에서 [Meta] 용어 정리 (메타 자산 구조, 유저부터 유저의 자산까지) 메타 용어 정리 설명하기에 앞서 메타 용어들을 정리하고 가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메타의 ERD 구조가 실제로는 어떠한 kscodebase.tistory.com 서론 저번에는 PBM과 CBM에 대해서 설명했다. 마지막 그림만 가지고 다시 설명하면, Meta User는 PBM을 자신의 agency로 등록해야 한다. 모종의 이유로, PBM에서 바로 광고를 집행하는 것은 계정 정지 등의 이유에 대해서 대응하기 취약하기 때문에 PBM은 CBM을 만든다. PBM은 자신의 고객 당 하나의 CBM을 만들고, 고객으로부터 받은 자산 ( = DataSourc..
도메인/마케팅
2024. 4. 4. 2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