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ode.js
- 프로그래머스 레벨 2
- 레벨 1
- javascript
- ip
- dfs
- Nestjs
- 문자열
- 타입 챌린지
- 타입스크립트
- TCP
- BFS
- 쉬운 문제
- socket
- type challenge
- 프로그래머스
- 소켓
- 자바스크립트
- Algorithm
- HTTP
- HTTP 완벽 가이드
- 크롤링
- typescript
- 알고리즘
- Crawling
- 수학
- 백준
- dp
- 가천대
- 그래프
- Today
- Total
목록2024/04/07 (2)
kakaso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6XgL/btsGp0zjAjX/3gPkJ8fx8SWvonADk0RoJ0/img.webp)
EC2란? EC2는 AWS에서 제공되는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로, 하나의 서비스가 아니라 고수준에서 여러 서비스들을 포괄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가상 머신을 임대하는 것 외에도 데이터를 가상 드라이브 또는 EBS에 저장하거나, ELB로 부하를 분산, 오토 스케일링 그룹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 모두가 EC2 서비스에 포함된다. EC2에서 가상머신을 임대할 때 선택사항 OS ( Linux, Windows, Mac OS )를 선택해야 하며, 나는 Amazon Linux 2를 사용한다. 컴퓨터 성능, 코어 수 ( = 프리티어로 t2.micro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어는 1개 )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의 크기를 선택해야 하며, 마찬가지로 프리티어에서는 1GiB이다. 스토리지의 크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ZEDy/btsGsUDV9T8/honJK90O3MCdmsy2ZRilQ0/img.webp)
결제 및 비용 관리 탭 예산 확인은 AWS 콘솔에서 우측 위 자신의 프로필을 누르고, [결제 및 비용관리] 탭을 누르면 확인할 수 있다.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 홈]에서는 자기가 이번 달에 사용한 금액을 AWS 서비스 ( = 리소스 ) 별로 확인해볼 수 있다. 예시로 보여준 이미지는 IAM 사용자로 로그인하였기 때문에 권한이 없어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데, 이럴 경우 Root에서 권한을 줘야 한다. IAM User가 예산을 확인할 수 있게 권한 주기 이번에는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계정 프로필 탭에서 [계정]을 누른다. ( 예시 이미지에서는 여전히 IAM이지만 루트로 해야 한다 ) 계정 탭에 들어가서 스크롤을 하면 아래에 [결제 정보에 대한 IAM 사용자 및 역할 액세스] 라는 섹션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