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자열
- type challenge
- 프로그래머스 레벨 2
- 타입 챌린지
- Crawling
- Node.js
- Algorithm
- 그래프
- 소켓
- HTTP 완벽 가이드
- typescript
- TCP
- dfs
- 프로그래머스
- HTTP
- 백준
- dp
- 크롤링
- BFS
- 레벨 1
- 가천대
- 자바스크립트
- Nestjs
- 수학
- 알고리즘
- 타입스크립트
- 쉬운 문제
- javascript
- ip
- socket
- Today
- Total
목록router (2)
kakasoo

Express의 구조 ( Router, Route, Layer ) 잠깐 쉬어가는 느낌으로, 그림을 가지고 설명합니다. 플로우 차트 기호 같은 걸 전혀 모르셔도 좋습니다. ( 애초에 프로그램 시작 말고는 그걸 따르지도 않았습니다. ) 지금 생각하니 괜히 코드를 넣었나 싶네요. 처음에 프로그램이 시작하면 express() 함수는 application을 만듭니다. application은 생성됨과 동시에 HTTP의 각 메서드들에 handler 함수를 등록하는 함수를 만듭니다. 이후 app.get, app.post 등과 같이 첫 번째 파라미터로 path를, 두 번째 파라미터로 handler 함수를 전달해주면 아까 생성된 함수들이 동작합니다. 앞에 get, post 등 HTTP 메서드 이름으로 함수를 실행합니다. ..

Express로 서버 만들기 Express-generator로 서버 생성 $ npm install express-generator -g $ express --no-view myAppName 위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웹 서버를 만들 수 있다. express 뒤에 들어간 --no-view는 option이다. pug나 jade 같이 서버 사이드 렌더링을 도와줄 view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이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분리하는 게 당연한(?) 일인 만큼, view는 없애도록 했다. 나는 이 상태로 개발을 시작했다. 굳이 pug과 jade를 쓸 필요 없이, 클라이언트는 분리해서 React로 만들고자 했다. 이번에는 간단한 수준에서 Express를 설명하고자 한다. 필요하다면 다른 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