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스크립트
- dfs
- 타입스크립트
- 그래프
- 프로그래머스
- type challenge
- 레벨 1
- socket
- 타입 챌린지
- javascript
- BFS
- HTTP
- HTTP 완벽 가이드
- Crawling
- Node.js
- 가천대
- 백준
- 소켓
- 문자열
- 수학
- Nestjs
- 크롤링
- ip
- 프로그래머스 레벨 2
- TCP
- Algorithm
- 쉬운 문제
- dp
- 알고리즘
- typescript
- Today
- Total
목록지속 커넥션 (3)
kakasoo
HTTP는 다음을 보장한다. 객체는 올바르게 식별된다. ( Content-Type, Content-Language 등 헤더를 이용한다. ) 객체는 올바르게 압축이 풀린다. ( Content-Length, Content-Encoding 등 헤더를 이용한다. ) 객체는 항상 최신이다. ( 엔터티 검사, 캐시 만료 제어 )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한다. ( 내용 협상을 위한 Accept 관련 헤더를 이용한다. ) 네트워크 사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한다. 조작되지 않고 온전하게 ( 안전하게 ) 도착할 것이다. 15.1 메시지는 컨테이너, 엔터티는 화물 HTTP를 컨테이너라고 한다면 HTTP 엔터티는 메시지의 실질적인 화물이다. 엔터티는 엔터티 헤더와 엔터티 본문으로 나뉜다. HTTP/1.1의 10가지 주요 엔터..
4.6 파이프라인 커넥션 HTTP/1.1은 지속 커넥션을 통해서 요청을 파이프라이닝할 수 있다. 이는 keep-alive 커넥션의 성능을 더 높여준다. 파이프라인은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다. 파이프라인에는 제약이 있다. HTTP 클라이언트는 커넥션이 지속 커넥션인지 확인하기 전까지는 파이프라인을 이어서는 안 된다. (지속 커넥션이 아니면 뒤의 요청이 무시 당한다.) HTTP 응답은 요청 순서와 같아야 한다. HTTP 메시지는 순번이 없기 때문에 응답이 순서 없이 오면 정렬할 방법이 없다. HTTP 클라이언트는 도중에 커넥션이 끊기더라도 다시 요청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몇 개의 요청까지 성공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있어야 한다. HTTP 클라이언트는 POST 요..
4.3 HTTP 커넥션 관리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HTTP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기서부터는 커넥션을 생성하고 최적화하는 HTTP 기술을 설명한다. 4.3.1 흔히 잘못 이해하는 Connection 헤더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프락시 서버, 캐시 서버 등이 놓이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 메시지는 중개 서버들을 거쳐서 오간다. 이 때, 특정 경우에 한하여 두 대상에서만 전달할 값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HTTP Connection 헤더 필드는 커넥션 토큰을 쉼표로 구분하여 갖고 있는데, 그 값들은 다른 커넥션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 Connection: close 라고 명시할 수 있다. Connection 헤더에는 다음 세 가지의 토큰이 전달될 수 있다. HTTP 헤더 필드 명은 이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