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알고리즘 풀이
[이분 탐색] 랜선 자르기 (백준 1654번)
카카수(kakasoo)
2020. 3. 1. 12:12
반응형

문제를 처음 접했을 때, 이걸 어떻게 하라는 건가 싶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k, n; unsigned long long int arr[10000]; int counted; bool cutting(int standard) { counted = 0; for (int i = 0; i < k; i++) { unsigned long long int temp = arr[i]; while (temp >= standard) { temp -= standard; counted++; } } if (counted >= n)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int main(void) { cin >> k >> n; for (int i = 0; i < k; i++) cin >> arr[i]; unsigned long long int left, mid, right; left = 0; right = -1; unsigned long long int ans = 0; while (left < right) { mid = (left + right) / 2; if (cutting(mid)) { ans = mid; left = mid + 1; } else { right = mid; } } cout << ans; } |
느낀 점
매우 좋은 문제라고 생각이 드는 게, 이진 탐색 자체를 일종의 parameter로 써서 진행한다는 점이, 이진 탐색의 활용도를 훨씬 높여줄 수 있음을 증명한다.
그냥 이진탐색이라고 한다면, 일직선상의 정수 범위에서 계산을 진행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는데,
이런 방식을 쓰면 다양한 방정식이 이진 탐색을 도입할 수 있게 된다.
문제 자체의 어려움보다, 사고를 비트는 게 더 어려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