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알고리즘 풀이
[node.js] 분산처리 ( 백준 1009번 )
카카수(kakasoo)
2021. 4. 8. 14:45
반응형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const input = [];
let count = 0;
rl.on("line", (line) => {
if (!count) {
count = Number(line);
} else {
input.push(line);
if (input.length === count) {
main();
rl.close();
}
}
}).on("close", () => process.exit());
const main = () => {
for (let i = 0; i < count; i++) {
let [a, b] = input[i].split(" ").map(Number);
a %= 10;
let temp = a;
for (let j = 0; j < b - 1; j++) {
temp = (temp * a) % 10;
}
if (!temp) {
console.log(10);
} else {
console.log(temp);
}
}
};
그다지 어려운 문제가 아니었다.
항상 이런 문제는 출력의 범위를 확인해야 한다. 숫자가 너무 크지는 않은지 확인한다.
너무 크다면 분명 단순히 구현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