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알고리즘 풀이
[node.js] A -> B ( 백준 16953번 )
카카수(kakasoo)
2021. 3. 26. 17:24
반응형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rl.on("line", (line) => {
main(line);
rl.close();
}).on("close", () => {
process.exit();
});
const dfs = (cur, max, value) => {
if (cur === max) {
console.log(value);
process.exit();
}
if (cur * 2 <= max) {
dfs(cur * 2, max, value + 1);
}
if (cur + "1" <= max) {
dfs(Number(cur + "1"), max, value + 1);
}
};
const main = (line) => {
const numbers = line.split(" ").map(Number);
dfs(numbers[0], numbers[1], 1);
console.log(-1);
};
그래프 문제였다. 그렇게 어려운 건 아닌데, 배열을 만들고 풀려다가 메모리 초과가 나왔다.
사실 배열의 크기를 그렇게 크게 할 수 없다는 건 당연한건데도, 아직도 문제를 잘 안읽고 넘어가서 실수하고 있다...
지금처럼 현재 값을 저장하면서 이동하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