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알고리즘 풀이
[node.js] 1로 만들기 ( 백준 1463 )
카카수(kakasoo)
2021. 3. 24. 19:41
반응형
처음에는 DFS 방식으로 풀려고 했다. 이전에 Cpp로 할 때에는 이것도 성공했는데, node에서는 실패했다.
스택이 초과했다.
그래서 DP 방식으로 고쳤다.
// BJ1463 1로 만들기
// 이렇게 하면 스택이 터져서 풀 수가 없다.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MAX = 987654321;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rl.on("line", (line) => {
main(line);
rl.close();
}).on("close", () => {
process.exit();
});
const dfs = (numbers, cur) => {
for (let i = 0; i < 3; i++) {
if (i === 0 && cur % 3 === 0 && numbers[cur / 3] > numbers[cur] + 1) {
numbers[cur / 3] = numbers[cur] + 1;
dfs(numbers, cur / 3);
} else if (
i === 1 &&
cur % 2 === 0 &&
numbers[cur / 2] > numbers[cur] + 1
) {
numbers[cur / 2] = numbers[cur] + 1;
dfs(numbers, cur / 2);
} else if (i === 2 && numbers[cur - 1] > numbers[cur] + 1) {
numbers[cur - 1] = numbers[cur] + 1;
dfs(numbers, cur - 1);
}
}
};
const main = (line) => {
const numbers = new Array(Number(line) + 1).fill(MAX);
numbers[0] = -1;
numbers[line] = 0;
dfs(numbers, line);
};
그래서 코드가 아래처럼 됐다. 더 깔끔하고 좋아졌다.
readline으로 코드를 짜는 게 불편하긴 하지만, 익숙해져야겠다. ( 실제 시험은 이렇게 입력부터 시작하진 않을 테니. )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rl.on("line", (line) => {
main(line);
rl.close();
}).on("close", () => {
process.exit();
});
const main = (line) => {
const DP = new Array(Number(line) + 1).fill(0);
for (let i = 2; i <= line; i++) {
DP[i] = DP[i - 1] + 1;
if (i % 2 === 0) {
DP[i] = Math.min(DP[i / 2] + 1, DP[i]);
}
if (i % 3 === 0) {
DP[i] = Math.min(DP[i / 3] + 1, DP[i]);
}
}
console.log(DP[line]);
};
반응형